본문 바로가기
코인 이야기

블록체인 그리고 지갑이 뭔데 ?

by 오디리 2025. 4. 21.

서 두

주식이니, 코인투자니 관심이 많은 분야이면서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기초부터 알아야 틈새를 보고 
앞을 바라볼 수 있는게 아닐까 ?

​비트코인이라는, 온라인 화폐라는 것의 탄생을 알았으니
이제는 이놈을 어떻게 활용하는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동안 포스팅중 중복이 살짝 되는 부분도 있습니다.복습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1. 중앙집중형 전화폐란 ?

중앙집중형 전자화폐의 구조

2008 글로벌 금융위기때 정부가 리먼브라더스 파산으로 돈을 막 찍어서 문제가 발생하면서
많은 투자자들은 나가라 운영하는 은행의 중앙집중형 구조에 대해 불신을 갖기 시작.

결론적으로
중앙집중형 금융은 정부가 주도로 하나의 기관에서 모든 금융시스탬을 좌지우지 하며 돈을 막 찍어내니까 인플레이션이 오고 
화폐 불안성이 커지니까 돈 많은 부자들이 자기들 돈 보호 하려고 새로운 분산 시스템을 만들자는 원인이 된거지. 

 

2) 탈중앙집중형 + 블록체인의 탄생

탈중앙집중형 전자화폐의 구조
은행을 배제한 각각 개인이 자산을 관리 운용할 수 있는 탈중앙집중형 전자화폐

금융거래 내역을 각자의 컴퓨터를 통해 전세계 사용들끼리 정보를 10분마다 공유하며 전자화폐를 만들기 시작한거야. 그런데 초기에는 큰 인기가 없다가 중국이민자들이 서양으로 몰리면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비트코인을 구매하면서 가치가 오르면서 비트코인은 금,은 과 같은 투자성으로 발전해 현재 1코인이 몇천만원씩 하는거야.
참고로 이더리움은 약 12~14초 마다 공유
아!!! 그리고 중요한거 블록체인은 계속 새로운 블록이 체인으로 연결되어 누적된다는거야.

블록체인은 최초탄생된 블록(쉽게 데이터베이스)이 지금까지 이시간에 만들어지는 블록까지 계속 체인으로 연결되어 보존된다는 거지. 아주 영원히 사라지지 않고 ~~~~ 편집, 수정 삭제도 안된다는거...

3) 블록체인 (Block Chain)이 뭔데 그래서 ? 단순히 데이터를 저장한다 라고 생각해

블록체인의 원리
코인을 사고 팔면서 생긴 기록 데이터가 블록, 블록을 5분마다 업데이트 하여 공유하는게 체인

코인을 사고 파는 내용을 담는 보고서 같은 데이터가 코인에 기록되는데 이걸 BODY 라고 해
BODY를 일정기간 모아 묶은 정보지 표지 같은 역할을 하는게 HEADER 라고 하는데 
채굴할때 HEADER의 정보를 이용한다.

체인 (CHAIN ) 을 좀더  알기 쉽게 이미지로 만들었어 

 

블록은 장부라고 했으니 연결하는 체인이 중요한 해시함수로 값을 풀어 연결해주는 열쇠가 되는거지

블록에 담겨진 정보를 다음 블록에 연결하려면 체인이 연결을 해주는데
체인이 바로 자업증명이라는 해시함수와 목표값 보다 작거나 같은 결과값인거야 그게 바로 체인을 연결하는 열쇠야
즉 목표값을 절대로 똑같이 계산할 수 없다는 거지 그래서 결과값이 목표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된다는 거야.
그럼 체인이 연결되어 다음 블록의 "이전블록 해시"로 등록되는거지... 안어렵지 ? (말로만 하니 길어지고 어렵네)

여기서 좀더 들어가 보자면
해시(hash)는 뭐야? 궁금하지 않아 ?

​해시의 특징 : 
수학 함수인데 한개의 인풋을 넣으면 하나의 아웃풋을 주는 여기서 중요한건 일방향 함수이며
결정론적 이라는 특징을 가져 - 검색창에 해시 생성기를 치고 한번 테스트를 해봐
해시함수 확인할 수  있는 예제 링크 : https://ko.rakko.tools/tools/10/

예)
" 이은우" 의 SHA-256 해시함수값은  아래와 같아 절대 변하지 않는 값이지 고유의 명사처럼             8c95db7aace2925c636478b01b8092208c8922c89356b8e83ca15928bceb6e2a

한번 확인 해 봤어? 
항상 정해져 있는 값이라는 거야 (각자 이름으로 한번 해봐)

그리고 일방향함수 라는 거야 위의 해시값을 입력한다고 "이은우"라는 값을 갖기 어렵다는 거지
예) 수박을 수박주스로 만든 후 수박주스를 수박으로 만들 수 없다는 의미와 같아. 쉽지 ?

해시함수 고정값 예시 ( 글자 하나 바뀌어도 - 요, 여 - 전혀 다른 해시값이 나와)
해시함수 일방향

이정도면 이해할 수 있을거 같은데.....

그럼 Block(나만의 데이터) + chain(나만의 해시함수) 만 만들 수 있다면 전자화폐를 너도 만들 수 있어.
나만의 데이터를 어덯게 만드냐고 ? 그거 어렵지 않아 곧 알려줄께 그리고 해시함수는 자동으로 계산이 되잖아
여기에 고정값을 내가 정하면 되는 거야... ㅎㅎㅎ 어렵지 않지 ?

 

4) 블록체인 (Block Chain)은 어떻게 똑같이 전세계 유저들이 공유를 하는거야?

가장 성능이 좋고 많은 거래 데이터를 갖고 있는 컴퓨터를 선정하여 10분마다 다른 유저의 컴퓨터에 최신 데이터를
나눠주며 공유를 하는데 기준이 되는 컴퓨터의 block이 선정되면 일정의 수수료로 코인을 지급 받는 보상이 주어지고. 체인을 연결하는 사용자도 보상을 받아된다. 
이러한  정보 연결을  해주고 보상을 받는것을  채굴이라 한다.

그런데 상상을 해봐
전세계 어느 누구도 컴퓨터를 1시간동안 사용안한다면 어떻게 될까 ? ㅎㅎㅎ

채굴이란
블록체인 기술은 여러명의 브랙리스트 관리를 위해, 전세계 사용자 컴퓨터가 자동으로 최신정보를 공유하며 관리를 한다.
모든 개인이 24시간 컴퓨터를 사용할 수 없기에  10분단위로 체인값을 찾아 블록을 연결하면 보상을 해준다
이게 채굴이라고 말한다.

채굴 팁) 
고성능의 컴퓨터를 요구함으로써 그래픽카드를 용산에서 많이 구매후 설치하여 고성능 컴퓨터로 채굴을  24시간 돌리다보면 전기료가 많이 나오게 되는 이유가 된다.
Nvidia 회사 주가가 고공 행진하는 이유가 바로 그래픽 카드 구매자가 많아 졌기 때문이다.

5) 네트워크를 사용하는데 해킹의 위험은 없는거야 ? (윗글 체인이 중요한 요소야)

block이 chain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5분마다 공유하는데 문제도풀고 거래공유가 가능할까?

김정은이가 비트코인 헤킹해서 돈좀벌어 미사일 쏘는데 쓰려고 전세계 비트코이 거래자들의 컴퓨터의 정보를 담고 있는 블록체인에 접근하여 조작을 하려면 빛보다 빠른 네트워크로 슈퍼컴퓨터로 접근을 해도 절대 할 수 가 없어.

왜냐면 전세계 사용자들의 컴퓨터에 접근을 할 수 있다 해도 비트콘인 해시함수 SHA-256을 풀어야 하는데 이게 쉽지가 않아. 그래서 수많은 채굴자들이 수십대의 컴퓨터를 24시간 365일 비산 전기료 내가며 주구장창 밤이나 낮이나 컴퓨터를 키고 있는거야. 전기세 무진장 나와도... 북한의 해킹부대 애들이 아무리 충성 한다고 해도 먹고 싸고 하는 시간까지 하겠냐고. 지가 버는것도 아닐테고 더군다나  전기도 딸리는데

여기서 한번즈음 쉬어가자면
블록체인 게임에 대해 좀더 알아보자고


블록체인 게임이란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여 개발 및 배포된 게임
블록체인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마트 계약으로 구성

 

마무리 하자니 아쉬운 지갑에 대한 이야기를 간단히 하자면(이전 포스팅글 참고해도 됨)
블랙리스트를 관리 감독하는 것이 블록체인이다.
은행에서 관리하는 주요 역할중 하나로서 우리가 카드결제 카드 승인후 결제 또는 거절등의 업무처리를 해주는 
프로그램을 관리 감독하는 프로그램이며, 중앙집권식 블랙리스트를 관리하기엔 신뢰를 할 수 없게 되면서
블랙리스트 관리를 은행이 아닌 하나의 객체별로 분산하여 블랙리스트를 관리 감독 하고자 하는 것이 바로
블록체이이라고 이해를 하면 됨.

1) 비트코인 사용하는 방법
비트코인 프로그램을 설치하게되면 전자지갑과 블록체인 2종이 같이 설치된다.
비트코인은 전자화폐음로 어떠한 실제 형태를 갖고 있지 않으므로 어디든 저장이 가능하다.
따라서 자신의 비트코인 주소와 거래 서명을 보관하는데 사용하는 개인키(전자지갑)을 이용해 안전하게 보관해야 한다. 필요충족과 편리성, 사용의 편리성과 액세스범위등 다양한 형태를 갖는 비트코인 지갑이 존재 한다.

2) 전자지갑 이란
거래용 통장 역할 (비트코인은 네트워크에 있지만 전자지갑은 비밀번호라고 할 수 있다)
비트코인을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써  사용자가 블록체인 트랜젝션을 통해 암호화 화폐에
엑세스하고 보내고 받는데 필요한 디지털 가격 증명이 포함된 마스터 파일을 생성 저장하는 장치
프로그램 이라고 할 수 있다.​

3) 전자기갑의 종류
a. 종이지갑(직접출력하여 사용가능)
비트코인을 받는데 필요한 공공 주소와 개인 키 정보가 적혀 있는 종이쪽지

b. 핫월렛(앱 지갑-해킹위험)
개인 키를 항상 온라인 상태에 있는 제 3자 관리 서버에 저장

c. 콜드월렛(실물형태 - 가장안전) 
개인 키를 공개하지 않은채 저장된 액수를 장기간 보관
콜드월렛 - 전자지갑을 개인 금고처럼 사용하듯 안전장치용으로 개인 외장하드에 담는 경우도 많다.
(저의 이전글 지갑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확인 해 보세요)

링크주소 안내
https://mopasang.tistory.com/entry/%EB%B9%84%ED%8A%B8%EC%BD%94%EC%9D%B8-%EC%A7%80%EA%B0%91%EC%9D%B4-%EB%AD%90%EC%95%BC